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기가격

전력기기 #2 - 전기가격은 어떻게 형성될까? 1) 앞의 글에서 전기에 대해서 간단하게 다뤄보았음. 전기는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맞추기 위해서 그리드망을 통해서 생산 및 소비됨.  2) 거대한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맞추어 준다는 것은 말만큼 쉽지 않음. 발전사들이 만든 전기를 전력거래소를 통해서 유틸리티회사들에 판매하고, 유틸리티 회사들은 구매한 전기를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됨.   3) '수요 - 공급'을 일치 시키기 위해서 두 개의 거래소에서 전기가 거래됨. 1) 전기를 사용하는 하루  전날에 시간 단위로 입찰하는 시장과 2) 실시간으로 부족한 전력을 빠르게 수급받는 실시간 전력시장 이렇게 두 개의 시장이 존재함.  3) 전날 입찰하는 시장은 다음날 9시 ~ 10시, 10시 ~ 11시 사이 등 한 시간 단위로 발전사로부터 .. 더보기
SMR #2 - 재생에너지가 늘어나면 왜 전기가 비싸질까? https://rich-dochi.tistory.com/24 1) 위의 글에 이어지는 내용임. SMR 이야기하다가 뜬금없이 재생에너지라니 무슨 소리일까 할 수 있음.  2) SMR의 문제 중 하나는 대형화가 이루어져야지 단가 인하가 이루어진다는 것임.비싸도 누가 먼저 대규모로 사주어야지 가격이 싸지는데, 지금은 시범단지 단계라서 누구도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상황이었음.  3) 미래기술이기는 하지만, 대규모로 사용되기에는 사실상 세월아 네월아 하는 기술이었던 것임.  4) 그런데, 때마침 선진국에서 전기가격이 비싸지는 일이 벌어짐. 코로나이후, 폭발적인 재생에너지 투자임.뚱땅지 같겠지만, 재생에너지는 대규모로 투자가 이루어질 수록 전기가격이 비싸지는 구조를 지니고 있음.   5) 미국의 전력믹스에서 재생..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