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rich-dochi.tistory.com/45
1) 이전 글에서 전력용 변압기에 대해서 다뤘었음. 전기는 만들어졌으면, 전선을 통해서 운반되어야 함.
2) 변압기는 변압할 수 있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크게 고압, 중대형 송전 변압기와 저압 소형 배전 변압기로 나뉨. 전선은 용도에 따라서 일반 전선과 초고압케이블로 나뉘었음. 최근에는 재생에너지가 커지면서 HVDC와 해저케이블 시장이 생겨남.
변압기 | 전선 | |||||
송전 변압기 | 배전 변압기 | 해저케이블 | HVDC | 초고압케이블 | 전력선 |
3) 이전 글에서 태양광을 제외한 주요 발전원들은 모두 교류로 전기를 생산하고, 교류가 변압이 용이하기 때문에 태양광도 교류로 변환해서 전송한다고 이야기했었음.
4) HVDC는 High Voltage Direct Current로 고압 직류 전선케이블임. 즉, 직류로 고압의 전류를 전송하는 것임. 기술이 발전하면서, 직류 고압 전송도 가능해진 것임. 보통 수백 km 이상의 거리의 전기를 전송할 때는 HVDC로 전송하는 것이 더 손실율이 적다고 함.
5) HVDC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국가간 전기를 연결하는 그리드망의 연결때문이기도 하지만, 해상풍력 시장이 열리면서이기도 했음. 해상풍력은 물리적으로 육상과 굉장히 먼 거리에 위치해있어, HVDC로 전기를 전송하는 것이 유리함.
6) 왜 바다까지 가서 전기를 만드냐 하면, 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임.재생에너지의 문제점은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어렵다는 점에 있음. 그와 비교해서 바닷 바람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바람이 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음
7) 해저케이블과 HVDC는 해상풍력 시장이 열리면서 발전하는 같은 맥락에 있는 것임. 해상풍력은 기본적으로 풍력터빈을 통해서 교류를 생산하지만, DC로 변환하여서 HVDC를 통해서 송전되고 있음.
8) 전선은 전기가 통하는 도체(인도할 도導, 몸 체體, Conductor)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재(끊을 절絶,인연 연緣,재목 재材, Insulation)와 차폐재 (막을 차遮,가릴 폐蔽,재목 재材,Shiedling Material)이 감싸고 있는 형태임.
9) 전선의 원가는 50 ~ 70%가 도체이며,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됨. 전도율이 높은 구리가 주로 전선의 원재료로 사용됨. 변압기와 비슷하게 경량화 혹은 비용 효율화가 필요한 경우에 알루미늄이 사용됨.
10) 절연재는 15 ~ 30%, 차폐재는 5 ~ 10%의 원가 비중을 차지함. 절연재는 주로 PVC (폴리염화비닐), XLPE(가교 폴리에틸렌), 고무 등이 사용되며, 차폐재로는 알루미늄 호일, 구리 브레이드 등이 사용됨.
11) 변압기와 전선 모두 구리를 주요 원재료로 사용함. 재생에너지가 부각받으면서 커진 전력산업에 대해서 간략히 다뤄 보았음.
12) 순차적으로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 시장과 태양광, 풍력, 가스 발전소 등 발전원별로 시장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다뤄보겠음
한줄요약: 변압기 설치 투자 이후, 전선이 설치됨. 재생에너지 투자가 폭발적으로 일어나면서 숨겨진 수혜주는 변압기 전선이었음.
전선업체 품목별 주요 상장업체
분야 | 일반전선 | HVDC | 초고압케이블 |
상장사 | LS전선, 대한전선,가온전선, 대원전선 SouthWire, General Cable, Leoni Furukawa Electric, Hitachi Cable |
LS전선, 대한전선, 일진전기 Prysmian Group, Nexans General Cable(Prysmian 인수) Sumitomo Electric ABB |
LS전선, 대한전선, 일진전기 Prysmian Group, Nexans, Sumitomo Electric, KEI Industries Fujikura |
재생에너지 투자를 유럽이 중심으로 하다보니, 전선업체들은 유럽에서 발달하였음. Prysmian, Nexans, NDK를 3대 전선업체로 뽑음.
'산업 및 기업 > 산업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유 #2 - 원유의 시추와 추출까지 (업스트림) (0) | 2025.01.21 |
---|---|
원유 #1 - 석유시대의 종말 ? 원유란 무엇일까 ? (0) | 2025.01.20 |
전력기기 #5 - 전력기기 - 변압기와 컨버터 (0) | 2025.01.18 |
전력기기 #4 - 교류와 직류 (1) | 2025.01.17 |
전력기기 #3 - 컨스텔라는 어떻게 5배가 상승했을까?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