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핵심 재무 및 사업 실적 (Lorenzo Simonelli, CEO)
- 기록적인 분기별 EBITDA: $12.1억 달성, 3분기 연속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
- EBITDA 마진: 17.5%, 2017년 이후 최고치 달성, IET(산업 및 에너지 기술) 및 OFSE(오일필드 서비스 및 장비) 모두 마진 확대.
- 자유현금흐름(FCF): $7.54억, 강력한 운영 성과 반영.
- 강력한 수주:
- 총 수주액 $67억, 이 중 IET $29억 포함, LNG, 가스 인프라 및 FPSO(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 설비) 수주 지속.
- 신재생 에너지 수주: 3분기 $2.87억, 연간 $9.71억 돌파 예상 (최초 $10억 초과 전망).
주요 사업 개발
- 가스 기술 장비(Gas Technology Equipment):
- FPSO 2건 추가 수주 (Saipem 및 중남미 프로젝트).
- 전기 모터 구동 압축기 공급 계약 체결.
- 가스 기술 서비스(Gas Technology Services):
- 중동 LNG 시설과 다년 계약 체결, IET의 디지털 솔루션 활용.
- 올해 누적 장기 서비스 계약(CSA) $6억 이상 수주.
- 신재생 에너지 및 탈탄소화:
- UAE에서 최대 규모의 무배출 ICL 기술 주문.
- Leucipa(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솔루션) 글로벌 도입 확대.
- 성숙 자산 솔루션(Mature Asset Solutions):
- 브라운필드(기존 유전 최적화) 투자 증가, 수익성 높은 노후 유전 최적화 사업 확대.
에너지 시장 전망 및 성장 전략
- 천연가스 수요: 2040년까지 20% 증가, LNG 수요는 75% 증가 예상.
- 석유시장 트렌드: 신규 개발보다 기존 유전 최적화(OPEX 투자 증가) 중심으로 전환.
- 지속적인 수익 창출 모델:
- 2030년까지 가스 기술 서비스(GTS) 설치 기반 20% 성장 예상.
- 장기 서비스 계약 및 디지털 솔루션 적용 확대를 통한 매출 성장.
- 장기 EBITDA 성장: 2026년까지 20%+ EBITDA 마진 목표,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디지털화 집중.
재무 및 부문별 실적 (Nancy Buese, CFO)
- 2024년 3분기 실적:
- 매출: $67억.
- EBITDA: $12.1억 (+23% YoY).
- EPS(주당 순이익): $0.67 (+59% YoY).
- 수주: $67억.
- 자유현금흐름(FCF): $7.54억(연간 누적).
- 부문별 성과:
- IET: 매출 $29억 (+9% YoY), EBITDA $5.28억 (+31% YoY), 마진 17.9%.
- OFSE: 매출 $40억, EBITDA $7.65억 (+14% YoY), 마진 19.3%.
- 자본 배분:
- 3분기 동안 주주에게 $3.61억 환원 (배당금 $2.09억, 자사주 매입 $1.52억).
- 연간 목표: 자유현금흐름의 60~80% 주주 환원.
향후 가이던스 및 전망
- 4분기 EBITDA 목표: 약 $12.6억.
- 2024년 연간 전망:
- 총 EBITDA: $51억.
- IET 수주: $120억~$125억 예상.
- OFSE 마진: 2025년 20% 달성 목표 유지.
- 2025년 전망:
- LNG 수주 회복 예상, 미국 LNG 모라토리엄 해제 가능성.
- FPSO 및 가스 인프라 수요 지속,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진행.
- 장기적인 가스 기술 서비스 매출 성장 전망.
CEO 마무리 발언 (Lorenzo Simonelli)
- 베이커휴즈는 변동성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구조를 강화하고 있음.
- 2026년까지 20% EBITDA 마진 목표, 이후에도 지속적인 개선 추진.
- 장기적인 설치 기반 및 서비스 수익 모델을 통한 지속적인 수익 창출 기대.
주요 Q&A 요약
1. 가스 인프라 및 서비스 성장 전망 (John Anderson, Barclays)
Q: 향후 몇 년 동안 서비스 비즈니스는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가? LNG 서비스는 다른 서비스 대비 어떤 차이가 있는가?
A (Lorenzo Simonelli, CEO):
- **가스 기술 서비스(GTS)**는 베이커휴즈의 핵심 성장 동력이며, 장기적인 반복 수익과 높은 마진을 창출하는 사업.
- **LNG 서비스의 계약 체결 비율(attachment rate)**이 FPSO나 일반 가스 인프라 대비 높음.
- 장비 판매 매출의 1~2배 수준의 서비스 매출 발생 (20~30년 장기 계약 구조).
- 2030년까지 LNG 설치 기반 70% 성장 전망, 장기적인 서비스 수익 확대 기대.
- 현재 건설 중인 200MTPA의 LNG 용량은 이번 10년 후반부터 본격적인 서비스 매출을 창출할 것.
2. 마진 개선 및 미래 전망 (Scott Gruber, Citigroup)
Q: 마진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데, 2025~2026년까지 추가적인 마진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은?
A (Nancy Buese, CFO):
- 현재 마진 개선의 절반 이상이 내부 효율성 개선(자체 노력) 덕분.
- 비용 절감: 본사 운영 비용을 2년간 연간 $6000만 절감.
- IET 마진 개선: 높은 마진의 수주 잔고(backlog) 전환, 공급망 효율화, 비용 절감 추진.
- OFSE도 마진 개선 중: 가격 정책 강화, 비용 절감, 수익성 중심 전략 유지.
- 20% EBITDA 마진은 목표 지점이 아니라 단계적 이정표일 뿐 – 계속적인 개선 계획.
3. 가스 기술 서비스(GTS) 매출 vs. 설치 기반 성장 (Stephen Gengaro, Stifel)
Q: 2030년까지 설치 기반이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과거 데이터를 보면 매출 증가율이 이를 초과했다. 앞으로도 이런 경향이 지속될까?
A (Lorenzo Simonelli, CEO):
- 예, 매출 증가율이 20% 이상의 설치 기반 성장률을 초과할 것.
- 주요 이유:
- 가격 인상 효과 (계약 구조상 인플레이션 연동).
- LNG 서비스 계약 비율 증가 → LNG 설치 기반이 2030년까지 70% 증가 예상.
- AI 기반 모니터링 및 디지털 서비스 확대.
- 설비 업그레이드 증가 (탄소 배출 절감 및 에너지 효율 개선 요구 반영).
4. IET 수주 및 2025년 전망 (James West, Evercore ISI)
Q: 2024년 IET 수주 목표($12.5B) 달성이 가능한가? 2025년 전망은? IET가 OFSE 수익을 넘어서는 시점은 언제인가?
A (Lorenzo Simonelli, CEO):
- LNG 수주 감소에도 불구하고 $12.5B 목표 달성에 자신 있음.
- 가스 인프라, FPSO, 신재생 에너지(New Energy) 사업이 이를 보완.
- 2025년에도 견조한 수주 흐름 예상, LNG FID(최종 투자 결정) 증가 가능성.
- IET가 지속적으로 성장하지만, OFSE와의 균형도 중요.
5. 3분기 IET 매출 지연 및 4분기 반등 전망 (Saurabh Pant, Bank of America)
Q: 3분기 IET 매출이 예상보다 낮았지만, 4분기에는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이유는 무엇인가?
A (Nancy Buese, CFO):
- 공급망 문제와 해상 운송 지연 등으로 인해 매출이 일부 미뤄짐.
- 수주 잔고 실행에는 차질 없음, 4분기와 2025년 초에 매출이 반영될 예정.
- 2024년 전체 매출 증가 목표(30% 이상)에는 변동 없음.
6. 2025년 IET 수주/매출 전망 (Marc Bianchi, TD Cowen)
Q: 2025년 IET 수주량은 2024년과 비슷한 수준인가? 매출 반영 속도는?
A (Lorenzo Simonelli, CEO):
- 2025년 IET 수주는 2024년과 유사한 수준, 소폭 증가 예상.
- 미국 LNG 모라토리엄 해제 시 LNG 수주 회복 기대.
- 수주 잔고(RPO)는 계속해서 높은 수준 유지, 매출 반영 속도도 안정적일 것.
** APPEN
BKR은 GEV로 부터 기술 제휴를 받아서 LNG 냉매 압축용 가스 터빈을 제조 중. BKR이 제조하는 가스터빈은 소형으로 50MW 급 정도이며, GEV가 제조하는 가스터빈은 복합화력발전소 발전용 터빈임
특징 | Baker Hughes (BKR) | General Electric (GE) |
주요 용도 | LNG 액화 & 가스 압축 | 발전소 전력 생산 & 산업용 응용 |
터빈 유형 | 항공 유래(Aero-Derivative) & 중형 가스터빈 | 발전소용 중형 가스터빈 |
주요 LNG 터빈 | LM9000, NovaLT12, PGT25+G4 | GE 9HA, 7HA, LMS100 |
LNG 특화 여부 | LNG 플랜트 전용 설계 (압축기 구동 & 전력 생산) | 주로 발전소용, 일부 LNG 응용 가능 |
효율성 | LNG 냉각 공정에 최적화된 고효율 설계 | 전력 생산 최적화 |
배출가스 저감 | LNG 지속 가능성을 위한 CO2 배출 저감 | 저 NOx 연소 기술 적용 |
728x90
'산업 및 기업 > 기업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Q24_할리버턴(NYSE:HAL)_해양시장의 장기적인 성장을 전망합니다. (0) | 2025.02.12 |
---|---|
3Q24_슐룸베르거(NYSE:SLB)_공급과잉 우려로 고객사들의 업스트림 투자가 신중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1) | 2025.02.10 |
3Q24_Select Water Solutions(NYSE:WTTR)_워터 인프라 부문의 마진이 57%를 달성했습니다. (0) | 2025.02.08 |
3Q24_Nabors Industries(NYSE: NBR)_미국의 리그 효율성 개선이 둔화됨에 따라 2025년에는 안정적인 리그 수요를 전망합니다. (0) | 2025.02.07 |
3Q24_Okeanis Eco Tankers(NYSE:ECO)_가장 젊은 유조선단을 운영 중입니다.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