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rich-dochi.tistory.com/47
https://rich-dochi.tistory.com/48
1) 이전 글들에서 원유의 미드스트림과 원유의 주된 수요처별 비중에 대해서 다뤄보았음. 이번 글에서는 원유를 운송하는 미드스트림 부분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함.
2) 원유는 수요처와 공급처가 명확함. 주로 중동 및 미국에서 생산되어서 아시아와 유럽지역으로 수송됨. 맨 처음 원유 글에서 주된 원유의 생산지에 대해서 이야기한 바 있음. 주된 생산지는 중동, 미국, 러시아임.
https://rich-dochi.tistory.com/30
3) World Meter에 따르면, 주된 원유의 수요처는 미국, 중국, 인도, 일본,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대한민국, 캐나다 등임. 디테일한 숫자는 좀 잘 못 된것 같지만, 어찌되었든 대략적인 순위는 같음
순위 | 국가 | 소비량 (Barrels) | 비율 |
1 | 미국 | 19,687,287 | 20.3% |
2 | 중국 | 12,791,553 | 13.2% |
3 | 인도 | 4,443,000 | 4.6% |
4 | 일본 | 4,012,877 | 4.1% |
5 | 러시아 | 3,631,287 | 3.7% |
6 | 사우디아라비아 | 3,302,000 | 3.4% |
7 | 브라질 | 2,984,000 | 3.1% |
8 | 대한민국 | 2,605,440 | 2.7% |
9 | 캐나다 | 2,486,301 | 2.6% |
10 | 독일 | 2,383,393 | 2.5% |
ETC | 기타 | 38,598,720 | 39.8% |
4) 원유가 산지가 아니면서 주된 원유의 수요 순위가 높은 국가들은 모두 아시아 국가들임을 확인할 수 있음. 중동, 미국, 러시아 입장에서 아시아는 주된 수요자인 셈임.
5) 정제설비는 주로 유럽, 중동, 북미, 아시아에 주로 분포함. 원유를 공급받기 쉽거나, 화학단지 및 도시와 같은 수요처와 가까운 곳에 주로 위치함.
6) 순위로 놓자면, 아시아와 북미의 순위가 제일 높음. 수요처와 공급처 순위와 비례하는 셈임
7) 전 세계 정제설비의 규모별 순위는 아래와 같음.
Rank | 회사명 | 정제설비 규모 (bpd) | 시장점유율 (%) |
1 | China Petrochemical Corporation (Sinopec) | 5.97 Mill | 5.9% |
2 | Chi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 (CNPC) | 4.9 Mill | 4.8% |
3 | Exxon Mobil Corporation | 4.68 Mill | 4.6% |
4 | Saudi Arabian Oil Company (Saudi Aramco) | 3.6 Mill | 3.5% |
5 | Valero Energy Corporation | 3.2 Mill | 3.1% |
6 | Rosneft Oil Company | 2.9 Mill | 2.8% |
7 | Petroleos Mexicanos (Pemex) | 2.6 Mill | 2.5% |
8 | National Iranian Oil Refining and Distribuition Company (NIORDC) |
2.5 Mill | 2.4% |
9 | Chevron Corporation | 2.2 Mill | 2.1% |
10 | Roytal Dutch Shell | 2.2 Mill | 2.1% |
ETC | 기타 | 66 Mill | 66 % |
8) 정제되기 전의 원유를 운반하는 탱커선을 더티 탱커(Dirty Tanker), 정제된 원유를 운반하는 탱커선을 클린 탱커(Clean Tanker)라고 함.
9) 2021년 기준 전 세계 유조선 수는 약 8,900척임. 정확한 더티 탱커와 클린 탱커의 수를 알기는 어렵지만, 정황상 더티 탱커가 더 다수일 것으로 추정됨. 이유는 이란, 러시아 같은 각각 수출량이 400만 배럴, 900만 배럴 정도 되는 것에 비해 정제 설비는 200만 배럴 정도 밖에 안되기 때문. 중동 국가들은 대부분 정제되기 전의 원유를 수출함.
10) 역설적이게도 중도엥서 정유설비 투자가 많이 나오는 것은 중동국가들의 정제설비 자급율이 낮기 때문임. 원유의 구조적인 수요의 감소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자국내에서 설비투자를 통해서 원가경쟁력을 가져가기 위해서임.
11) 중동국가들의 원유 정제설비 자급설비투자에 대한 피해는 한국, 중국과 같이 원유를 자급하지 못 하고 수입해와서 정제 및 가공해서 판매하는 업체들임. 원가경쟁력에서 상대가 안되기 때문. 이 부분도 차차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음..
12) 원유 운반과 관련한 산업은 해운 그 중에서도 탱커와 연관성이 높음. 이에 대해서는 원유 산업에 대해서 모두 정리한 이후 정리토록 하겠음.
13) 다음 글에서는 러 - 우 전쟁이 촉발한 원유의 공급과잉에 대해서 다뤄보겠음.
* 한 줄 요약: 상황이 바뀌면, 수혜를 보는 산업과 그렇지 못 한 산업이 나타남. 국내의 경우, 피팅같은 경우, 중동국가들의 정제설비 투자로 수혜를 보았지만, 정유,화학 업체들은 피해를 보는 상황이 연출되었음.
'산업 및 기업 > 산업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유 #7 - 왜 당분간 유가는 $ 70 ~ $ 80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될까? (0) | 2025.01.26 |
---|---|
원유 #6 - 러-우 전쟁이 불러온 해양시장의 봄 (0) | 2025.01.25 |
원유 #4 - 원유의 종류별 사용비중 (0) | 2025.01.23 |
원유 #3 - 원유의 정제과정과 분류 (다운스트림) (0) | 2025.01.22 |
원유 #2 - 원유의 시추와 추출까지 (업스트림)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