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및 기업/산업 정리

원유 #7 - 왜 당분간 유가는 $ 70 ~ $ 80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될까?

728x90
반응형

 

 

https://rich-dochi.tistory.com/50

 

1) 이전 글에서 러-우 전쟁이 원유 시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다뤄보았음.

 

2) 이번 글에서는 세계 2위의 원유 수출국가인 러시아의 생산량 감소가 예상됨에도 유가가 폭등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음. 

 

3) 사우디는 세계 1위의 원유 수출국으로 현재 사우디의 연간 수출량은 약 700만 배럴에 달함. 2위 러시아보다도 40% 가량이 더 높은 수치로 원유 수출 시장내에서 사우디는 그야말로 왕자임. 

 

사우디의 연간 수출량 700만배럴을 기준으로 위아래를 산정해보면, 다음과 같이 계산됨. 

 

$ 70 기준으로 700만 배럴의 수익은 $ 70 * 700 = $ 49,000 임.

만약 사우디가 100만 배럴의 증산한다면, 유가는 하락할 것이고, 생산량은 증가할 것임.

이 때, 사우디의 손익은 $ 60 * 800 = $ 48,000 임

 

사우디는 $ 70에서 백만 배럴 증산을 했는데, 도리어 손해가 발생하는 것임. 

 

4) 물론, 증산분에 따라서 유가가 하락하는 폭은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단순한 계산식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간단한 결론임. 여기서 수요가 급증해서 유가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면, 사우디가 증산을 통해서 유가를 낮춰서 얻는 이득은 거의 없음

 

5)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여기서 유가가 더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사우디가 감산을 통해서 유가를 지킨다고 해서, 사우디가 얻는 것은 없음. 남 좋은일만 하고 점유율만 하락하게 됨 

 

$ 70 * 700 = 49,000

$ 80 * 600 = 48,000

 

6) OPEC+는 의무적 및 자발적 감산을 포함하여 약 600만 배럴의 감산을 이어가는 중. 이중 절반에 달하는 250 ~ 300만 배럴을 사우디가 홀로 감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사우디 생산량 (bpd) 유가 사우디 수익
800 $ 90 $ 72,000
$ 80 $ 64,000
$ 70 $ 56,000
$ 60 $ 48,000
700  $ 90 $ 63,000
$ 80 $ 56,000
$ 70 $ 49,000
$ 60 $ 42,000
600 $ 90 $ 54,000
$ 80 $ 48,000
$ 70 $ 42,000
$ 60 $ 36,000
500 $ 90 $ 45,000
$ 80 $ 40,000
$ 70 $ 35,000
$ 60 $ 30,000

 

7) 실제, 유가는 단기적으로 $ 100 까지 급등하기도 했지만, $ 70 내외에서 꾸준히 유지되고 있음 

 

 

8) 앞의 글에서 남미의 브라질, 가이아나 등을 중심으로 해양부문에서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음. 두 국가가 각각 2029년, 2027년의 목표로 하는 생산량은 다음과 같음 

 

브라질: 340만 배럴 -> 540만 배럴 (+200만 배럴)

가이아나: 39만 배럴 -> 100만 배럴 (+60만 배럴) 

 

9) 두 국가의 특징은 원유가 전체 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임.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커진 가운데, 남미에서의 영향력 확대의 목적 또, 아직 원유의 산업 밸류체인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으로 인프라 투자를 통한 경제성장율 제고 등의 목적으로 추정됨. 

 

10) 향후 5년 이내에 두 국가에서 추가되는 생산량은 현재 사우디의 감산량과 비슷함. 20년 후반으로 갈수록 원유의 총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을 염두한다면, 러시아의 생산량이 눈에 띌 정도로 감소하지 않는다면, 원유 시장은 공급과잉에 빠질 가능성이 꽤나 높은 상황임. 

 

11) 여기서 변수가 나타남. 바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임.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의 바이든 대통령과 다름.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손해를 보더라도 친환경 정책을 계속해서 밀어붙여야 한다는 입장이었고, 지금의 트럼프는 다름. 

 

12) 바이든은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면서, 인플레이션의 유발을 막기 위해서 러시아 및 이란에 대한 제재에 대해서 의도적으로 눈감아 주는 부분이 존재했음 

 

13) 트럼프는 다름. 최근에도 바이든 정부 때 눈감아 주었던 그림자함대에 대한 제재를 본격적으로 실시하기 시작함. 

 

*인도도 Dark Fleet 제재에 동참. 인도와 중국 정유/석유화학 업체의 원가 경쟁력 상실 국면 진입

India to Reject Oil Tankers That Were Sanctioned by US on Friday(Bloomberg)

- 미국의 러시아 제재 대상 선박이 하역을 허용받지 못할 것. 단, 1/10일 이전에 계약된 선박은 3/12일까지 하역을 완료하면 예외. 즉, 제재의 영향은 두 달 후 유예 기간이 끝날 때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

- 인도의 정유사들은 중동 공급업체들과 장기 공급 계약 협상 준비 중

-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할인 구매 기회 상실 가능성

- 인도 은행들은 원유가 제재 대상 공급업체에서 오지 않았음을 확인하기 위해 원산지 증명서를 요구할 것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1-13/india-to-reject-oil-tankers-that-were-sanctioned-by-us-on-friday

 

출처: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https://t.me/energy_youn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글로벌 전통에너지/신재생에너지 및 각종 소재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뉴스와 분석을 다룹니다. 컴플라이언스를 감안해 종목에 대한 언급은 보고서만을 통해 공유할 예정이며, 보고서를 제외한

t.me

 

14) 미국 입장.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바라보는 미국의 에너지 시장에 대해서 다음 글에서는 다뤄보고자 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