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및 기업/산업 정리

원유 #9 - 헷갈리는 원유의 종류와 개념

728x90
반응형

 

1) 이전 글들에서 원유 산업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정리했음. 이번 글에서는 원유와 관련해서 헷갈리는 것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놓고자 함. '이번 내용은 대부분 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정유,석유화학 산업'이라는 책에서 내용을 가져왔음

 

2) 원유는 가스와 함께 매장이 되어 있음. 많은 양의 원유와 적은 양의 천연가스가 같이 매장되어 있는 곳을 유전. 오로지 천연가스만 매장되어 있으면 가스전이라고 명칭함.

 

3) 유전에서 생산된 가스는 원유와 함께 시추하기 때문에 석유가스(Petroleum Gas)라고 부름. 반면, 가스전에서 생산된 가스는 천연가스(Natural gas)라고 부름. 

 

4) 석유가는 보관과 운송의 편의를 위해 액체 형태로 바꿈. 이를 액화석유가스. 줄여서 LPG(Liquefied Petrolium Gas)라고 부름. LPG는 메탄, 에탄, 프로탄, 부탄으로 구성됨. 프로판은 프로판가스가 되어 취사 및 난방용으로 쓰이고, 부탄은 부탄가스가 되어 소형 버너에 사용됨 

 

5) 천연가스는 운송방법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림. 파이프라인을 통해 천연가스를 공급하면, PNG(Pipe-Line Natural Gas), 영하 162도에서 냉각 후, 액체로 만들어 부피를 1/600로 줄이면 액화천연가스 LNG(Liqufied Natural Gas)가 됨. LNG는 해상을 통해 운송되며, 발전 및 도시가스 등의 용도로 사용됨

 

6) 천연가스를 1/250로 아ㅂ축하면 CNG(Compressed Natural Gas)가 됨. LNG는 고가의 장치들이 필요하지만 CNG는 그런 장치들이 필요 없어 비용 절감이 가능함. 한국에서 버스 연료로 사용되며, 트럭 등의 연료로도 사용됨 

 

7) 중유의 한 종류로 벙커C가 있음. 주로 선박용 연료로 사용되는 벙커C가 중유의 대표명사가 되었음. 중유는 증류하는 과정에서 가장 마지막에 남아 있는 기름인데, 그 양이 많고 가격 또한 저렴하기 때문에 대형 선박 연료로 이용해왔음. 환경규제로 인해서 중요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8) 윤활유는 제품의 구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함. 원유의 잔사유를 통해서 제조됨. 점도 지수에 따라서 윤활기유의 그룹 1,2,3으로 나뉘는데, 그룹3의 기유는 자동차용 고급 윤활유로 사용되어 부가가치가 높음 

 

9) 사우디 OSP(Offical Selling Price)는 사우디가 원유 수출시, 적용하는 기준가격임. 워낙 글로벌로 사우디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보니, 중요한 지표로 여겨짐. 매월초에 아람코가 발표함. 3가지 유종에 대해서 OSP를 발표함. 

 

아랍 라이트(Arab Light): 사우디 대표 중질 원유

아랍 헤비 (Arab Heavy): 점도가 높은 중질유

아랍 엑스트라 라이트 (Arab Extra Light): 경질원유 

 

10) 아시아, 유럽, 미국으로 나누어 지역별로 가격이 다르게 책정됨. 보통 아시아 시장이 가장 높은 프리미엄을 받는 경우가 많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