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rich-dochi.tistory.com/49
1) 이전에 원유산업의 미드스트림에 대해서 다뤘었음. 미드스트림을 원유를 옮기는 것임. 원유를 옮기는 선박을 탱커(Tanker)라고 부르며, 조선/해운사의 3대 선종 중 하나임. 3대 선종이라는 것은 대부분의 선박을 차지한다는 상선임을 뜻함.나머지는 벌크선, 컨테이너선임.
2) 탱커는 크게 세 종류로 나뉨. 원유 운반선(더티탱커, Dirty Tanker)와 석유 제품 운반선(클린탱커, Clean Tanker), 화학제품 운반선(Chemical Tanker)로 나뉨. 운송화물에 따라서 분류가 나뉨
3) 정제되기 전의 원유와 중유를 중심으로 운반하면, 원유 운반선. 정제된 석유 제품을 위주로 운반시 석유 제품 운반선, 톨루엔, 메탄올, 황산 등 다양한 화학물질을 운반하면 화학제품 운반선으로 분류됨
구분 | 원유 운반선 (Dirty Tanker) | 석유제품 운반선 (Clean Tanker) | 화학제품 운반선 (Chemical Tanker) |
운송 화물 | 원유, 중질유 | 정제 석유 제품 | 화학물질, 식용유 등 |
탱크 구조 | 단순 철재 탱크 | 에폭시 코팅된 탱크 |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특수 코팅 |
탱크 분리 | 분리 설계 미비 | 일부 독립된 구조 | 탱크 간 완벽한 독립 설계 |
안전 기준 | 낮음 | 중간 수준 | 매우 높음 (IMO IBC Code 준수) |
선박 크기 | 대형 ~ 초대형 (ULCC ~ VLCC) | 중소형 ~ 중형 (MR, LR) | 소형 ~ 중형 |
화물 세척 빈도 |
낮음 | 중간 | 매우 빈번 |
4) 원유 운반선. 더티탱커는 중형 ~ 초대형 사이즈의 선박들로 구성되어 있음. 분류하자면, 아래와 같음. 각 선종 사이즈별로 이름의 유래는 주요 병목구간이 되는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선박을 뜻함.
종류 | 크기 (DWT) | 운송 화물 | 운항 지역 | 특징 |
ULCC | 320,000 이상 | 원유 | 중동, 아시아, 유럽, 미국 간 주요 항로 | 원유 200만 배럴 이상 운송 가능. 대량 수송에 적합 |
VLCC | 200,000 ~ 320,000 | 원유 | 중동 ~ 아시아 간 장거리 수송 | 초대형 원유 운반선. 경제적인 이유로 제한된 항로에서 주로 운항 |
Suezmax | 120,000 ~ 200,000 | 원유 |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간 수송 | 수에즈 운하 통과 가능(홀수 20m 미만). 수송량과 유연성의 균형을 갖춤 |
Aframax | 80,000 ~ 12,0000 | 원유, 중질유 | 북미, 유럽, 아시아 등 | 중거리 운송에 적합. 다양한 항구에서 활용가능하며 연료 효율성이 높음 |
Panamax | 50,000 ~ 80,000 | 원유, 중질유 | 북미 ~ 남미, 파나마 운하를 포함한 항로 | 파나마 운하 통과 가능. 좁은 항구 접근성 우수. |
Handymax | 40,000 ~ 50,000 | 원유, 중질유 | 단거리 및 좁은 항구 | 중소규모 화물 운송에 적합하며 유연성 높음 |
Handysize | 10,000 ~ 40,000 | 원유, 중질유, 역청 등 | 단거리 수송, 소규모 항구 | 소규모 화물 운송 및 좁은 항구에 적합 |
5) 주요 원유 수송의 지역은 중동 -> 아시아 및 유럽. 미국 -> 아시아 및 유럽. 아프리카 -> 아시아 및 유럽임.
주요 수출국과 수입국을 생각하면, 자연스러움. 그 중 메인 항로는 중동에서 아시아로의 판매 해협임. 미국은 원유 수출국이기도 하지만, 순수입국이기도 함.
6) 중동에서 아시아로 운송할 때 지나야 하는 병목구간은 호르무즈 해협과 말라카 해협임. 사우디에서 출발해서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서 말라카 해협을 지나는 형태임. 주로 VLCC가 사용됨 호르무즈 해협과 말라카 해협은 전 세계 원유 수송량의 20% 이상이 통과하는 해협임.
7) 호르무즈에서 무슨 사건이 났다고 하면, 유가가 널뛰기를 하는 이유임.
8) 전 세계 원유 수송량의 9% 가량은 수에즈 운하 및 SUMED 파이프라인을 통해서 운반됨. 수에즈 운하는 사우디의 서부, 호르무즈해협은 사우디의 동부임. 워낙 중동산 원유의 영향력이 전 세계적으로 크다 보니, 중동에서 시끄러운 일이 생기면 우리가 알게 되는 것임.
9) 기타 주요 운하는 파나마 운하, 보스포루스 해협임. 전체 무역량에서 비중은 파나마운하 5% 미만, 보스포루스 해협 3% 정도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음
병목 지점 | 전 세계 원유 수송 비중 | 주요 수출국 | 주요 수입국 | 추가 정보 |
호르무즈 해협 | 20 % 이상 | 사우디, 이라크, UAE | 글로벌 시장 (주로 아시아와 유럽) |
중동 원유 수출의 핵심 경로 |
말라카 해협 | 15 ~ 20 % | 중동, 아프리카 | 중국, 일본, 한국 | 동아시아로 원유 운송의 주요 경로 |
수에즈 운하 및 SUMED 파이프라인 |
9 % | 중동 | 유럽, 지중해 연안 국가 | 하루 약 500만 배럴 처리. |
파나마 운하 | 5% 미만 | 미국 (멕시코만) | 아시아 (중국, 일본 등) | 주로 미국 멕시코만에서 아시아 수출로 사용 |
보스포루스 해협 | 3 % | 러시아, 카스피해 지역 | 지중해 연안 국가들 | 러시아 및 카스피해 원유 지중해 수출 경로 |
10)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파나마운하를 미국이 다시 재차지해야한다고 이야기한 바 있음. 군사적 이유도 있겠지만, 파나마운하는 미국산 원유의 주요 수출 기점이 되기도 함.
11) 원유 수송량은 사이즈별로 파나막스 10 ~ 15%, 아프라막스 25 ~ 30%, 수에즈막스 15 ~ 20%, VLCC 40%, ULCC 5% 가량이 됨. 장거리 원유 수송에 있어서는 VLCC가 가장 많이 사용됨.
12) 이번 글에서는 탱커선의 비중 및 주요 운항 항로에 대해서 다뤄보았음. 다음 글에서는 주요 수출 국가 (중동, 러시아, 미국, 남미) 국가들의 주요 항구 및 소요 시간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음
'산업 및 기업 > 산업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탱커 #3 - 제품탱커선(Clean Tanker) 시장 (2) | 2025.01.31 |
---|---|
탱커 #2 - 주요 원유의 수출 항구 및 운항일 (1) | 2025.01.30 |
원유 #9 - 헷갈리는 원유의 종류와 개념 (0) | 2025.01.28 |
원유 #8 - 트럼프가 그리는 미국의 에너지 패권 (0) | 2025.01.27 |
원유 #7 - 왜 당분간 유가는 $ 70 ~ $ 80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될까? (0) | 2025.01.26 |